오윤혜의 발언이 허위사실일까? 법적 쟁점 정리해봅니다
⸻

2025년 6월,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방송인 오윤혜 씨를 상대로 명예훼손 및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면서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발단은 오 씨가 MBC 라디오에서 언급한 ‘대통령 권한대행의 호텔 식사’ 발언. 본 글에서는 본 사건의 핵심 법률 쟁점과 표현의 자유, 공적 감시 기능의 경계선에 대해 분석합니다.
⸻
명예훼손과 허위사실공표, 어떤 법조항이 적용됐나?

한 전 총리 측은 형법 제307조와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2항 위반 혐의를 적용해 고소장을 접수했습니다.
307조는 허위 사실로 사람의 명예를 훼손했을 때 처벌하며, 공직선거법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의 허위 발언을 문제 삼습니다.
공직자의 명예 보호와 국민의 표현 자유가 충돌할 때, 어느 가치가 우선되는지를 가르는 중요한 선례가 될 수 있습니다.
⸻
제보냐 허위냐, 핵심 쟁점은 ‘의도’와 ‘사실 여부’

오 씨는 “지인에게 들은 내용을 전달했을 뿐”이라는 입장입니다. 해당 발언은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전언’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문제는 이 정보가 허위였는지, 그리고 오 씨가 이를 알고 있었는지가 핵심입니다.
아래 표는 법적 판단에서 요구되는 성립 요건을 정리한 것입니다.
항목 성립 요건
명예훼손죄 허위성, 고의성, 공연성
허위사실공표죄 허위성, 인식 여부, 선거에 영향 줄 목적 포함
⸻
표현의 자유와 공적 감시권, 어디까지 인정되나?

대법원은 공적 인물에 대한 비판은 넓게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습니다.
정치인·공직자의 경우, 사생활 침해보다 공공의 이익에 무게가 실리기 때문입니다.
“공인의 공적 행위에 대한 시민의 비판은 민주주의의 근간”이라는 판례도 다수 존재합니다.
따라서 단순 제보 수준의 발언을 허위로 간주해 처벌하는 것은 위헌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
유죄 가능성은? 법조계는 ‘낮다’는 평가 다수
법률 전문가들은 대체로 본 건에서 유죄 성립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체적 사실의 단정이 아닌 전언 형태
2. 당선 방해 목적이 불분명
3. 공공의 이익을 위한 표현 가능성
고소가 성립하려면 오 씨가 해당 발언이 허위임을 인지했는지를 입증해야 하는데, 현 단계에서는 어려운 과제로 보입니다.
⸻
SNS 반응과 여론 흐름, 오윤혜의 대응 방식은?
오 씨는 경찰 조사를 받은 직후, SNS에 “짜릿하다”, “재밌네 인생이ㅋㅋ” 등의 글을 게시하며 자신의 입장을 유쾌하게 풀어냈습니다.
이에 대한 반응은 양극화됐습니다.
한편에서는 “책임감 없는 태도”라 비판했고, 또다른 한편에서는 “공권력의 과잉 개입”이라며 그녀를 옹호했습니다.
아래는 현재까지 주요 반응 흐름을 정리한 표입니다.
입장 주요 반응 내용
비판 측 공직자 명예 훼손에 대한 책임 필요성 강조
옹호 측 표현의 자유 및 제보 전파의 자유 옹호
⸻
정치 유튜브와 라디오, 공론장의 확장과 그 책임
‘매불쇼’ 등 유튜브 기반 정치 콘텐츠는 이제 단순 오락을 넘어 여론 형성의 한 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정치적 발언이 많은 만큼, 발언자의 책임감도 요구됩니다.
이번 사건은 언론·방송인의 자유로운 발언과 그 책임 간 균형, 그리고 공인의 법적 대응 범위를 둘러싼 기준을 다시 묻게 합니다.
⸻
한덕수 측 고소 전략, 효과보다 부작용이 클 수도
고소는 정치인의 이미지에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유권자에게는 “비판에 대한 과잉 반응”으로 비칠 여지가 있습니다.
오히려 해당 발언이 널리 알려지고, 고소가 ‘표현 위축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결과적으로 표현 자유와 고위 공직자의 대응 기준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전망입니다.
⸻
#한덕수고소 #오윤혜명예훼손 #공직선거법위반 #표현의자유논란 #정치풍자 #공적감시